오늘날 많은 기독교인들은 “여호와” 또는 “야훼”가 하나님의 고유한 이름이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성경을 자세히 보면, “여호와”라는 말은 사실 하나님이 자신을 가리킬 때 쓰신 1인칭 대명사(스스로를 뜻하는 말)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여호와”가 왜 실제 이름이 아닌지, 그리고 하나님이 모세에게 하신 말씀을 통해 그 이유를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모세에게 나타나신 하나님 말씀이 시작점
출애굽기 3장 14절에서 하나님은 모세에게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나는 스스로 있는 자라” (히브리어: 에흐에 아쉐르 에흐에)
이 말씀은 곧 “나는 나다” 또는 “나는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어떤 것에 기대지 않고 스스로 존재하시는 분이 바로 하나님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에흐에”가 “여호와”라는 말이 된 과정
이 “나는 스스로 있는 자라”는 히브리어로 “에흐에 아쉐르 에흐에”입니다. 이것을 “나는 저(하나님)다”라는 의미로 풀어 말하면, 사람들이 쉽게 “여호와”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여호와”란 단어 자체가 하나님이 “나는 나다”라고 스스로를 설명하실 때 쓰신 말이라는 뜻입니다.
아브라함·이삭·야곱에게 나타난 그분이 바로 하나님
출애굽기 3:6에서는 이렇게 나옵니다.
“나는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나타난 그 하나님이다”
이는 하나님이 모세에게 “내가 예전에 아브라함, 이삭, 야곱과 함께했던 바로 그 하나님이다”라고 자신을 소개하신 말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
이 대목에서 하나님은 “나는 예전에도, 지금도, 앞으로도 변함없는 분”이라는 뜻을 강조하십니다. 그리고 그분이 스스로를 “나는 나다”라고 부르시는 방식이, “여호와”라는 이름으로 우리에게 전해진 것입니다. 이 이름은 고유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님이 스스로를 가리키는 표현이었습니다.
1인칭 대명사라는 뜻
“여호와”(YHWH)는 히브리어로 쓰인 성경에서 하나님이 직접 사용하신 “나는 나다”라는 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즉, “여호와”란 “나는 존재한다”는 뜻을 담은 표현이고, 하나님이 스스로를 소개하실 때 쓴 말입니다.
“여호와”를 고유 이름처럼 부르는 오류
사람들은 오랫동안 이 단어를 “하나님의 이름”이라고 생각해 왔지만, 사실 성경이 말하는 핵심은 “나는 나다”라는 하나님 자신을 나타내는 말이라는 점입니다. 고유한 이름이라기보다는, 하나님이 “내가 바로 그 존재다” 하고 알려 주신 방식이었습니다.
진짜 이름이 없다는 의미
성경 어디에도 “여호와”가 하나님만을 위한 특별한 이름이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나는 나다”라는 말로, 하나님은 “나는 어떤 것에도 의지하지 않는 분이다”라는 뜻을 전하셨습니다.
하나님의 존재를 나타내는 말이라는 점
결국 “여호와”라는 말은 하나님이 “스스로 존재하는 분”임을 알려 주려는 표현이었습니다. 그저 사람들이 “여호와”라고 부르면서 그분의 자립적인 존재와 변함없는 성품을 기억하게 된 것입니다.
많은 사람이 오해하는 부분
오늘날 기독교인들은 “여호와”나 “야훼”가 하나님의 실제 이름이라고 믿으며 경외합니다. 하지만 이 이름은 하나님이 스스로를 “나는 나다”라고 소개하실 때 쓰신 말입니다.
그 말이 주는 교훈
하나님은 “나는 스스로 존재하는 분이니, 다른 무엇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라고 하셨습니다. 이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면, 우리는 하나님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제 알면 놀랄 진실
“여호와”라는 말은 그분의 고유한 이름이 아니라, 하나님이 “나는 나다”라고 스스로를 나타내신 표현이었습니다. 이 깨달음은 하나님이 자존적이고 변함없는 분임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
COPYRIGHT (C) GODNAR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