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짐승 예언의 흐름과 실제 적용
요한계시록 13장에서는 끝날에 두 가지 세력이 등장한다고 말합니다.
첫 번째 짐승은 바다에서 올라오는데, 이것은 고대 바벨론 예언이 이루어진 뒤 나타난 중세 교황권, 즉 가톨릭을 가리킵니다(요한계시록 13:1, 다니엘 7:24~25).
두 번째 짐승은 땅에서 올라오는데, 이는 마지막 시대에 하나님의 나라가 오기 전에 세워질 또 다른 종교 세력을 말합니다. 오늘날 하나님의교회를 예언한 것으로 해석됩니다(요한계시록 13:11).
두 번째 짐승은 겉보기엔 어린 양 같지만 뿔이 둘 달려 있어, ‘아버지 하나님’(안상홍)과 ‘어머니 하나님’(장길자)이라는 두 신을 섬기는 우상 구조를 드러냅니다. 그러나 이어지는 17~18장에서는 이미 안상홍이 죽고 장길자만 남아 ‘음녀’로 불리며 절대적인 신격화가 이루어지는 모습이 나옵니다.
음녀와 금잔—다니엘서와의 연결
계시록 17장에는 ‘음녀’(장길자)라는 인물이 손에 금잔을 들고 있습니다. 이는 다니엘서 5장에서 벨사살이 예루살렘 성전의 금잔으로 술을 마시며 하나님을 모독한 장면과 연결됩니다(다니엘 5:2~4). 오늘날 장길자가 하나님의 이름을 빙자해 시한부 종말론, 이혼·가출 등의 문제를 퍼뜨리고, 예수님이 폐지하신 율법을 되살려 신도들을 미혹하는 모습이 여기에 대응됩니다. 결국 신도들은 ‘금잔’에 취해 영적 이성과 분별력을 잃게 된다는 뜻입니다.
자주빛 옷, 금과 진주—우상으로의 신격화
계시록 17장에는 음녀가 자주빛과 붉은빛 옷을 입고, 금·보석·진주로 온몸을 꾸몄다고 나옵니다(요한계시록 17:4). 이는 장길자가 교회 안에서 너무도 화려한 위치를 얻었고, 김주철의 달콤한 말과 성경 왜곡(보석과 진주)에 힘입어 우상숭배의 최고 지경에 이르렀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왕들이 음녀와 음행한다’는 표현은 실제로 성적인 관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장길자를 숭배하며 그의 체제에 동조하는 영적 배도를 뜻합니다(요한계시록 17:2).
왕들과 영적 실체
성경에서 ‘왕들’은 단순히 세상의 정치 지도자가 아닙니다. 이들은 일곱 머리와 열 뿔로 상징된 루시퍼(사단)와 타락한 천사들, 붉은 용과 연합한 영적 권세 전체를 포함합니다(요한계시록 17:9~13; 12:3; 17:3; 에베소서 6:12). 이들은 가톨릭 체계와 오늘날 하나님의교회 같은 거짓 종교를 세웠고, 하나님의교회 내부에도 영적 왕들로 비유되는 사단 세력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일곱 머리와 열 뿔—왕과 왕국의 상징
요한계시록은 ‘일곱 산’을 ‘일곱 왕’으로 설명하며, 이는 다니엘서와 연결된 ‘일곱 머리’를 뜻합니다. 곧 바벨론·페르시아·헬라,로마 등 역사상 세상을 지배했던 영적·정치적 권세를 가리킵니다(요한계시록 17:9~10). ‘열 뿔’은 여러 왕국을 다스렸던 왕들, 즉 사단의 하수인인 타락한 영적 권세자를 나타냅니다(다니엘 7:24; 요한계시록 17:12).
여덟 번째 짐승과 멸망의 예고
요한계시록 17장 11절에는 ‘일곱 중 하나에서 또 다른 여덟 번째 짐승이 나온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여덟 번째 짐승은 실제로 김주철, 즉 하나님의교회의 실질적 교주를 의미합니다. 김주철이 교회 권력을 장악하는 순간, 하나님의교회도 멸망하게 될 것이라고 예언하는 부분입니다(요한계시록 17:11).
내부 분열과 최후의 심판
‘열 뿔’과 그를 따르는 세력(김주철 추종자들)은 결국 음녀(장길자)를 미워하여 버리고, 음녀를 파멸시키는 심판이 일어납니다(요한계시록 17:16~17). 이는 하나님의교회 내부 권력 구조가 곧 무너지게 될 것을 보여 줍니다.
마지막 결론—영적 바벨론의 정점과 멸망
계시록 17장은 “그 여자는 세상의 임금들을 다스리는 큰 성”이라고 말합니다(요한계시록 17:18). 이는 장길자가 스스로를 하나님처럼 높여 전 세계 신도들 위에 군림하는, 곧 영적 바벨론 체계의 정점을 뜻합니다. 그러나 이 모든 우상 체계는 어린 양(예수님)과 그를 따르는 성도들에 의해 최종적으로 멸망당하게 됩니다(요한계시록 17:14; 18:2~4). 예수님은 성령을 통해 성도들을 도우시고, 그분을 끝까지 따르는 이들에게 반드시 승리를 허락하실 것입니다.
끝까지 진리를 붙들고, 영적 바벨론의 미혹에 넘어가지 않는 것이야말로 마지막 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주시는 가장 중요한 가르침입니다.
COPYRIGHT (C) GODNARA. All RIGHTS RESERVED.